EMD Blog

GCP GCS 커스텀 도메인 적용 본문

Public Cloud/GCP

GCP GCS 커스텀 도메인 적용

EmaDam 2022. 9. 3. 10:10
반응형

만약에 버킷에 커스텀 도메인을 지정하고 싶다면 아래 절차를 거쳐야함.

[HTTP]

  1. 도메인 소유권 확인
    1. Domain-named bucket verification | Cloud Storage | Google Cloud
  2. 웹마스터 센터로 이동해 도메인 소유자 추가
    1. 인증된 도메인 이름으로 버킷을 만들기 위해서는 도메인 소유자가 되어야 함.
    2. 도메인 소유자는 서비스 계정도 가능
    3. 여러명 추가 가능
  3. 해당 도메인을 이름으로 해서 버킷 생성
  4. DNS에 CNAME 설정 (xxx.example.com → c.storage.googleapis.com. )

만약에 CNAME을 설정하지 않으면

이런식으로 접근해야한다. (도메인 설정의 의미가 없어진다.)

위 내용들은 아래 문서 참고하면 됨.

[HTTPS]

  1. 버킷 생성 (도메인 이름으로 하지 않아도 됨.)
  2. 로드밸런서 연결

도메인은 로드밸런서로 연결하기 때문에 버킷은 자유롭게 만들어도 된다.

위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면 됨.

만약에 커스텀 도메인을 HTTP로만 사용한다고 하면 심플하게 [HTTP] 방법을 사용하면 되지만 HTTPS도 사용한다고 하면 로드밸런서로 http https를 전부 구성하면 되기 때문에 https 사용여부에 따라 구성을 다르게 하면 됨. 즉, https를 사용한다고 하면 [HTTP]방법은 사용할 필요가 없음.

반응형

'Public Cloud > GCP' 카테고리의 다른 글

GCP Pub/Sub + Cloud Functions로 Google Chat 알림 채널 구성  (0) 2022.09.03
비공개 Uptime Check 구성  (0) 2022.09.03
GCP Cloud Functions  (0) 2022.09.03
GCP Pub/Sub  (0) 2022.09.03
GCP Filestore  (0) 2022.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