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devops
- cloud armor
- gcp
- docker
- cicd
- pub/sub
- MIG
- terraform
- Java
- Clean Code
- Python
- cloud
- 자격증
- IAM
- 후기
- github
- direnv
- CentOS
- vm
- Uptime Check
- 우테캠
- kubernetes
- cloud function
- AWS
- 보안 규칙
- VAGRANT
- Terraform Cloud
- Google Cloud Platform
- interconnect
- vpc peering
- Today
- Total
목록Uptime Check (2)
EMD Blog
GCP에서 Cloud Monitoring의 Uptime Check를 설정할 때 방화벽에서 Uptime Check IP를 허용해주어야 한다. 하지만 문서상에서 이 Uptime Check가 분기마다 변경될 수도 있다라는 식의 설명이 작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아래 처럼 적혀있다. =========== 문제의 문서 https://cloud.google.com/monitoring/uptime-checks/using-uptime-checks#get-ips 위 문서를 보면 “업타임 체크에 사용되는 IP 주소는 변경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분기별로 두 번 이상 변경할 수 없으며, 별도의 공지가 있어야 합니다.” 라는 문구가 있다. =========== 말이 애매모호 하지만 일단은 Uptime Check I..
외부 IP를 사용해 Uptime Check하는 것은 간단하지만 내부 IP를 사용해 Uptime Check를 할 경우 추가 작업이 필요하다. 내부 IP를 사용해 Uptime Check를 한다는 것은 트래픽이 비공개 네트워크에 액세스 할 수 있어야 한다는 뜻이 된다. 이를 위해서는 VPC 네트워크, Service Directory Project, Google Cloud 서비스 프로젝트를 구성해야 한다. 먼저 Uptime Check 대상인 VM에게 35.199.192.0/19 IP 대역(GCP Cloud DNS IP대역)의 TCP Ingress를 허용해 주어야 한다. 포트는 Uptime Check에 사용 할 포트를 지정해주면 된다. gcloud compute firewall-rules create \\ --n..